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눈
- Auepark
- 여행
- 아내
- 하준이
- Wuerzburg
- 핀란드
- 이자기
- Canon EOS 400D
- 식물
- 토토
- FUJI
- 튼튼이
- Kassel
- 출산
- 청이
- 풀다강
- 산책
- 독일
- 박자기
- Sigma DP2
- 가족
- nx100
- 하준
- 뷔르츠부르크
- GX1
- X-E1
- 후지
- Panasonic Lumix DMC FX150
- 봄
- Today
- Total
목록박자기 방/다이어리 (87)
하쥬니와 하이미네 ^ ^
얼마전에 오래된 갈색 서랍장 두개를 이틀에 걸쳐 아내와 함께 베란다에서 흰색 페이트로 칠했다. 아주 그럴싸한 것 같다. 지금 우리부부는 마루에 있는 가구들을 벽 색깔에 맞추어 모두 흰색으로 배치한다는 계획을 하나하나 실천해나가고 있다. 굳이 새로 구입할 필요없이 이렇게 부부가함께 페인트를 칠해보는 것도 아주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. 어제는 우리의 멋진 계획의 한 일부분으로 침실 구조를 조금 바꾸었다. 정말 신기한 것은 배치를 바꾸면 바꿀수록 굉장히 넓어 보이며 실제로 공간도 늘어난다는 것이다. 이제 우리의 침실은 침실겸 나의 작업실(?)/공부방이 되었다. 방 하나를 이렇게 잘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. 덕분에 마루도 흰색 컨셉으로 하나씩 만들어져가니 보는재미 또한 쏠쏠하다. 무거운..
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만나 사랑을 나누고 일평생 함께하겠노라고 하나님 앞에 약속을 했다. 아내는 며칠사이 날씨 탓인지 몸이 좋지않아 곤히 자고있다. 나는 결심한다.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녀를 위해 된장찌개를 끓이기로.. . . . 맛있게 먹는 모습이 사랑스럽다. . . 내가 먹어도 맛있었으니 말이다...
2년 6개월의 Kassel 아름대운교회 지휘자 생활을 마감했다. 100 percent 성악인으로 구성된 찬양대를 찾기도 참 쉽지 않을 것이다. 어떻게 2년 6개월을 지내왔는지...참 빨리 느껴진다. 많이 힘들었었다. 사람과의 갈등..오해...여러가지... 내려놓고 싶을때도 많았지만 하나님께서 주시는 귀한 훈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버틸 수 있었다. 돈으로 살 수 없는 귀한 것을 얻었지.. 그 값을 혹독하게(?) 치뤘지만 말이다.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.
시험이란... 언제나 그 어감 만으로도 사람을 긴장하게 만드는 것 같다. 오랫동안 준비해왔고 무대에서 몇번이나 연주를 했건만 시험이라는 이유하나만으로 상당히 긴장감이 감도는 Kleiner Saal 이었다. 게다가 부학장인 Dr.Roske 가 자전거 사고로 시험감독을 할 수 없게 되자. 학장인 나의 지휘 전공 선생님... H.D.Uhlenbruck 께서 직접 심사위원으로 참가... 나를 지켜보고있는 전공 선생님 때문에라도 연주를 잘해내야 한다고 몇번이고 다짐했는지 모른다. 학교 반주자이자 지휘과 반주자인 M.Kravtchin 까지 심사위원으로 들어왔기때문에 연주를 잘 못하면 앞으로 남은 학기동안 상당히 난감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..ㅠ ㅠ;; 피아노 선생님 레슨실에 있는 Beckstein 피아노로만 연습하다..
W.A.Mozart 의 Requiem 을 공부하고있다. 잉글리쉬혼과 파곳의 대화속에 우리의 마음이 뭉클해짐은 무엇때문일까? 장3도에 반응하는 우리의 모습과 단3도에 반응하는 우리의 모습. 각 Interval 마다 다르게 반응하는 우리 인간의 모습들.. 너무 쉬운얘기 처럼 들릴 수도 있겠지만 장3화음과 단3화음은 3음의 높고 낮음.. 그것도 반음 차이일 뿐이지만 그 결과는 판이하다. 그렇기에 아주 먼 옛날... 음악의 선배들( ?)께서 음정마다 고유의 의미를 부과하여 신성한 화음과 그렇지 못한 화음을 구별하여 사용했던 이유를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. 내가 말하고 싶은것은 이것이다. 한음 한음 버릴것이 없다는 것. 이유가 있다는 것. 특히 J.S.Bach 나 W.A.Mozart 에서는 더욱그러하다..
J.Haydn(1732-1809) Symfonie Nr.49 f moll - La Passione - 오늘 이곡을 피아노로 읽어 내려가면서 왜 제목이 La Passione 인지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. 그런데 악보앞 해설집에 이렇게 쓰여있다. Der Ursprung dieses Titels ist uns nicht bekannt. Er erscheint erstmalig im frühen 19.Jahrhundert . - La Passion- bezieht sich augenscheinlich auf den düsteren Charakter der Symfonie und besonders den des Adagios. 흥미로운것은 곡의 제일 첫 머리에 라틴어로 -In Nomine Domini- (..